김선교 국회의원이 11월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故 정희철 양평군 단월면장 사망 사건과 관련해 특검 강압수사 의혹과 증거인멸 왜곡 보도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슈라인=서지호 기자] 김선교 국회의원(국힘, 여주·양평)과 변호인단이,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故 정희철 양평군 단월면장 사망과 관련해 “민중기 특검팀의 강압수사가 고인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고 단정하며, 일부 언론과 특검이 퍼뜨린 ‘증거인멸’ 프레임에 대해 “완전한 조작”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김 의원과 변호인 박경호 변호사는 이날 양평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이 새벽까지 강압조사를 받고 귀가한 뒤 남긴 자필메모가 “특검 불법수사의 증거”라고 밝히며, 이를 허위로 몰아간 언론 보도가 고인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비판했다.
박 변호사는 뉴탐사, 경향신문, MBC, 오마이뉴스, 머니투데이 등 일부 매체가 고인의 절규를 “정치적 목적의 위조 메모”처럼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며 “좌파 언론과 특검이 고인을 두 번 죽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10월 8일 추석 연휴 중 양평으로 직접 내려가 고인을 면담했고, 자필메모 원본과 필체를 하나하나 대조해 확인했으며, 사건을 정식 수임했다고 설명하면서 “이 사실을 부정하는 보도는 근거조차 없는 왜곡”이라고 말했다.
김선교 의원은 특히 경향신문이 제기한 보좌관 증거인멸 의혹에 대해 “명백한 허위 보도이자 짜맞추기 프레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좌관은 증거를 없애려 한 것이 아니라,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관의 요청으로 CCTV 영상을 확보해 인권위 공식 이메일로 제출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김기윤 변호사가 공개한 문자 메시지에는 인권위 조사관이 먼저 보좌관에게 ‘커피숍 CCTV 받으셨는지요?’라며 자료 제출을 요청했고, 보좌관은 11월 7일 확보 즉시 인권위 조사총괄과장에게도 메일 주소를 받아 영상 파일을 전송한 기록이 명확히 남아 있다. 김 변호사는 “증거를 인멸하려는 사람이 국가기관에 증거를 제출하는 일은 없다. 증거인멸 프레임은 특검과 일부 언론이 만든 조작”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한 민중기 특검이 고인의 새벽 귀가 장면만을 근거로 “강압수사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 “그 장면은 새벽 1시까지 조사한 뒤 출입구로 데려다주는 모습일 뿐”이라며 “이를 강압 부재의 증거로 삼는 것은 옹색한 변명”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고인이 조사 직후 남긴 자필메모와 휴대폰 포렌식 결과를 즉시 공개하라”며 특검에 책임 있는 해명을 촉구했다. 그는 “유서를 공개하지 못하는 것은 고인의 절규 속에 특검의 책임이 그대로 드러나 있기 때문 아니냐”며 “유가족과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 확인조차 하지 않은 채 특정 정치세력의 관점을 그대로 받아쓴 저급한 선동”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이 공직자의 억울한 죽음에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이 죽음의 공범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살인 특검을 특검하는 제도부터 만들라”고 요구했다.
김 의원은 공흥지구 관련 논란이 이미 이재명 경기도지사 시절 감사를 통해 ‘혐의 없음’ 결론이 난 사안임을 다시 강조하며 “특검이 동일 사건을 다시 끌어와 저급한 정치공작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원인 나에게도 이런 식으로 조작 프레임을 씌운다면 일반 국민은 얼마나 더 무력하겠느냐”며 “더 이상 선량한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자회견으로 사건은 특검 강압수사 여부, 고인의 자필메모 진정성, 국가인권위원회 직권조사 연기 배경, 언론 보도의 사실성 등 핵심 쟁점이 다시 불붙은 상황이다. 김 의원 측이 문자·CCTV 제출 기록까지 공개하며 반격에 나선 만큼 특검과 인권위의 향후 대응이 이번 사건의 진실 규명을 좌우할 전망이다.
끝으로 김선교 의원은 “고인이 남긴 마지막 기록은 결코 묻힐 수 없으며, 누구도 이 죽음의 진실을 가릴 수 없다”며 “진실이 드러날 때까지 모든 책임을 끝까지 추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