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은호 군포시장이 주요 현안 브리핑을 앞두고 시민들에게 약속한 공약 추진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이슈라인=정희도 기자] 하은호 군포시장이 취임 3년 만에 멈춰 있던 군포의 시계를 다시 돌려 세웠다.

정치적 제동과 정쟁 속에서도 행정의 본질을 지켜내며, 주거·교통·산업 전 분야에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다.

하 시장은 취임 직후 시의회 다수당의 반대로 조직개편안이 두 차례 부결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정치는 변명일 수 없다. 행정은 결과로 말해야 한다”는 철학으로 흔들림 없이 추진력을 이어갔다.

그 결과 군포의 주요 현안 사업들이 계획 단계에서 실행 단계로 전환됐다.

대표적인 사례가 1기 신도시 재정비다.

군포시는 2025년 11월 기준 산본 9-2구역과 11구역을 선도지구로 지정하고, 주민동의율 75.8%, 64.9%를 달성해 특별정비구역 지정 절차에 착수했다.

도시 노후화 논의에 머물던 산본신도시가 실제 정비 절차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철도 지하화 사업 역시 본격화됐다.

하 시장은 2024년 3월 기준 경부선 금정역에서 당정역 구간과 안산선 금정역에서 대야미역 구간을 대상으로 지하화 전략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도심을 가로막던 선로 아래로 도로를 내고, 상부를 생활공간으로 재편하는 이 사업은 군포 도시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전망이다.

GTX-C 금정역 정차 추진도 가시권에 들어섰다.

사업 초기 “군포 제외설”이 나왔지만, 하 시장은 국토교통부와의 협의 끝에 2025년 초 기준 정차 시나리오 확정 단계에 올려놓았다. 복합환승센터와 역세권 복합개발이 병행되며 교통 중심도시로의 도약 기반이 마련됐다.

행정 효율화 성과도 뚜렷하다.

2024년 말 기준 공모사업 확보액이 1,000억 원을 넘었고, 관내 31개 기업이 경기도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됐다.

공약 이행률은 2025년 기준 78%, 전국 기초단체 상위권 수준이다. 복지·문화·청년 정책에서도 아동돌봄센터 7개소 운영, 시립예술단 정상화, 경로당 냉난방시설 교체 등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가 이어졌다.

군포의 변화는 이제 완성보다 속도의 문제다.

하은호 시장은 행정의 방향을 시민 중심으로 재정렬했고, 정치가 멈춰 세웠던 도시를 다시 가동시켰다.

이제 과제는 지속 가능한 추진력이다.

3년 동안 쌓은 실행의 경험이 군포의 다음 10년을 결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