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기도당 임성주 수석대변인(오른쪽 두번째)이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강압수사 실태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성명을 발표했다.
[이슈라인=서지호 기자] 국민의힘 경기도당 임성주 수석대변인이, 26일 광화문 KT 특검 사무실 앞에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강압수사 실태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성명을 발표했다.
임성주 수석대변인은 고(故) 정모 사무관의 사망을 “정치적 목적에 희생된 사회적 타살”이라고 규정하며 특검 해체를 강하게 요구했다.
11월 26일 서울 광화문 KT 특검 사무실 앞에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강압수사 의혹을 규탄집회가 열리고 있다.
임 대변인은 성명에서 고인이 남긴 유서와 메모 내용을 직접 인용하며, 특검 조사 과정에서의 압박과 회유 정황을 공개했다. 고인은 “기억이 안 난다고 해도 계속 다그친다”, “김선교 의원을 지목하라고 회유한다”고 남겼고, 이는 특검의 중립성과 공정성에 중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대목이다.
또한 그는 “진실을 규명해야 할 특검이 오히려 한 공직자를 죽음으로 내몰았다”며, 수사 과정에서의 인권침해를 ‘살인 특검의 폭주’라고 비판했다. 10월 2일 진행된 새벽까지의 강도 높은 조사 이후, 고인은 여덟 날 뒤 극단적 선택을 했고, 이 사건은 전국 정치권에 충격을 던졌다.
임 대변인은 특히 특검이 고인의 죽음 바로 다음 단계에서 김선교 의원을 피의자로 소환한 점을 “표적 수사의 완성판”이라고 지적했다. 공흥지구 개발부담금 17억 원 혐의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에 불과하다”며, 특검이 이미 한 사람의 죽음 앞에서도 정치적 노선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10월 13일 ‘민중기 특검 폭력수사 특검법’을 당론 발의했다. 임 대변인은 이를 두고 “무너진 법치와 인권의 가치를 바로 세우기 위한 필수 조치”라며, 특검 구성원 전원의 책임 규명과 해체를 촉구했다.
현장 분위기는 엄중했다. 참여 당원들은 고인을 기리며 상복을 입은 심정으로 자리했고, 임 대변인의 발언은 모인 시민들의 공분을 더욱 끌어올렸다. 강압수사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특검의 중립성에 대한 의혹과 정치적 수사 논란은 앞으로도 여야 간 충돌의 중심에 놓일 전망이다.
이번 성명은 단순한 항의가 아니라, 특검 제도 자체에 대한 신뢰 위기와 정치적 중립성 훼손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
임성주 수석대변인을 중심으로 한 국민의힘 경기도당의 추가 대응이 이어질 경우, 민중기 특검 문제는 전국적 정치쟁점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