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결정한 지난해 6월 9일 경기도 파주 접경 지역에 기존 대북 방송 확성기가 있었던 군사 시설물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해당 시설물 안에 확성기가 설치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사진=연합뉴스)
2025년 대한민국은 정치·경제·사회 전 영역에서 불확실성과 변화가 동시에 몰아치고 있다. 대통령 탄핵 이후 새 정부가 출범했지만, 정치적 안정은 아직 요원하다. 전직 대통령 부인의 구속 여부를 둘러싼 법정 공방은 사회 갈등을 재점화시키며, 정치 리스크가 정권 교체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교·안보 환경도 변화의 흐름 위에 있다. 이재명 정부는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며 대화 가능성을 열었지만, 북한은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8월 말로 예정된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은 안보와 경제 협력 모두에 있어 전략적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한미 관계가 재강화될지, 혹은 새로운 균형점을 찾을지가 관건이다.
경제는 더 이상 성장에 안주할 수 없는 국면에 진입했다.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수출 중심 산업 구조가 흔들리고, IMF는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0%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가 AI·반도체·K-콘텐츠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구조적 체질 개선 없이는 장기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
인구 감소는 한국 사회의 근본을 흔드는 변수다. 최근 6년간 군 병력이 20%나 줄었고, 이는 단순한 국방력 약화에 그치지 않는다. 노동력 부족, 산업 생산성 저하, 복지 재정 압박, 지방 소멸 위험 등 국가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뿌리 깊은 문제다.
사회 구성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국인 주민 비중이 늘면서 정부는 다문화 사회 통합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공생 구조는 아직 미흡하다. 언어·교육 지원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제도 중심의 일방향 포용에서 벗어나 상호 이해와 참여를 기반으로 한 통합 모델이 필요하다.
정치적 불확실성, 경제 위기, 안보 환경 변화, 인구 감소,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다섯 가지 축은 지금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다. 서로 얽히고 영향을 주고받는 복합 위기 속에서, 어떤 정책과 전략이 선택되느냐가 향후 10년을 결정할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에 필요한 것은 단기 인기보다 국가의 지속 가능성을 지향하는 로드맵이다. 변화를 위기로만 보지 않고, 기회로 전환하는 능력이야말로 2025년 한국이 직면한 불확실성을 돌파할 유일한 해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