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K리그1 2025’ 26라운드 FC안양과 포항스틸러스 경기를 응원하는 안양 서포터즈

K리그가 매년 관중 증가와 팬층 확대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심판 판정 논란은 그 흐름에 제동을 걸고 있다.

지난 15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26라운드 FC안양과 포항스틸러스의 경기는 단순한 승부를 넘어 심판 논란이 중심에 섰다.

포항 이호재가 안양 김정현과의 공중볼 경합 과정에서 팔꿈치를 사용해 얼굴을 가격하는 모습(사진=K리그 유튜브)

전반 추가시간, 포항 이호재가 안양 김정현과의 공중볼 경합 과정에서 팔꿈치를 사용해 얼굴을 가격했지만, 주심은 경고에 그쳤다. 김정현은 얼굴이 찢어지는 부상을 입었음에도 온필드 리뷰는 시행되지 않았다. 반면, 후반 40분 안양 권경원의 팔꿈치가 포항 주닝요에게 닿자 이번에는 레드카드가 곧바로 나왔다. 두 장면 모두 고의성이 명확하지 않았음에도 판정은 극명하게 달랐다.

안양 권경원의 팔꿈치가 포항 주닝요의 얼굴을 가격하는 모습(사진=K리그 유튜브)

팬들은 같은 유형의 파울에서 한쪽은 경고, 다른 한쪽은 퇴장이 나온 것을 두고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일관성 없는 판정이 경기 결과를 좌우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이번 한 번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한축구협회는 최근 전남 드래곤즈와 천안시티FC 경기에서 발생한 VAR 오심을 인정했다. 하지만 해당 심판 징계 여부를 공개하지 않았고, 오심에 관여한 심판이 바로 다음날 안양과 포항 경기에서 부심으로 배정되면서 팬들의 불신은 폭발했다.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회가 “기계적 오류”를 이유로 내세우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도 도마 위에 올랐다. 축구계 안팎에서는 “오심을 인정했으면 심판 자질과 운영 시스템에 대해 명확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판정 논란이 거듭될수록 K리그의 공정성은 흔들리고 있다. 이는 곧바로 리그 신뢰로 직결된다. 관중과 팬층이 늘어나는 흐름 속에서 심판 판정 불투명성은 흥행의 발목을 잡을 수밖에 없다. 축구는 선수들의 기량과 팀의 전략이 승부를 가려야 한다. 그러나 지금처럼 심판의 잣대가 들쭉날쭉하다면, K리그 흥행에 먹구름이 드리우는 것은 시간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