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정부의 123개 국정과제 확정에 맞춰 도정 핵심사업을 정부 부처 실행계획에 반영하기 위한 ‘국정과제 대응전략 전담조직(TF)’을 본격 가동한다.
경기도는 14일, 경제부지사를 총괄 단장으로 한 TF를 구성해 국정과제와 연계한 세부 실천전략과 국비 확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기획조정실과 중앙협력본부를 중심으로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며, 각 실·국이 담당하는 국정과제를 면밀히 분석해 도정 현안과의 접목 방안을 발굴한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정부 각 부처가 수립하는 구체적 실행계획에 도정 정책과 수요가 사전에 반영되도록 선제 대응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미 ▲K-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 ▲기후테크 클러스터 조성 및 RE100 전환 ▲AI 컴퓨팅센터 민간유치와 AI 선도사업 특구 지정 ▲철도 지하화 및 수도권 광역철도 확충 ▲북부 대개발 등 미래성장·균형발전 프로젝트를 국정기획위원회에 건의한 바 있다. 또, ▲주4.5일제 시범사업 ▲간병 SOS 프로젝트 ▲기후보험 및 기후행동 포인트 제도 등 국민 체감형 정책도 포함됐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국정과제에 반영되면 향후 5년간 정부 재정과 정책 지원이 뒷받침되는 만큼, 핵심 사업이 빠짐없이 반영되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반영되지 않은 사업도 실천전략을 마련해 실행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앞으로 경제부지사 주재로 TF 회의를 열어 실·국별 세부 전략을 점검하고, 도지사 주재 회의에서 주요 대응 현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대응은 단순한 계획 수립을 넘어, 향후 5년간 경기도의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