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라인=장사라 기자] 최근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AI 리터러시(AI Literacy) 교육의 중요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단순히 인공지능 도구를 사용하는 수준을 넘어, 학생들이 AI의 원리와 한계, 윤리적 판단 능력, 비판적 사고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 역량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계에 따르면 AI 리터러시는 AI를 이해하고, 활용하며, 결과를 해석하고 책임 있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능력 교육보다 폭이 넓고, 사고 중심의 학습을 요구한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교과에서 AI 리터러시 교육이 적용되고 있다. 국어 수업에서는 AI가 작성한 글을 학생들이 스스로 평가·비교하며 논리력과 독해력을 강화하고, 수학 수업에서는 복잡한 계산은 AI가 보조하고 학생들은 문제 구조 분석과 해결 전략 설계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사회와 윤리 과목에서는 딥페이크, 데이터 편향, 개인정보 보호, 저작권 문제 등이 주요 토론 주제로 다뤄지고 있다.
교육 전문가들은 AI 리터러시가 미래 진로 역량의 기본 언어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사)한국미래인재협회 회장 민혜림 박사는 “앞으로의 직업 세계는 AI와 협업하는 능력이 전제된다”며 “AI를 단순히 ‘도구’로 쓰는 학생과, AI를 이해하고 설계·비판할 수 있는 학생 사이의 격차는 매우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선 학교에서는 교사 연수·교재 준비 부족 등의 어려움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청과 지자체는 AI 리터러시 연계 수업 모델, 체험형 프로그램, 학생 맞춤형 AI 학습 지원 플랫폼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시대의 경쟁력은 지식 암기 능력이 아니라 좋은 질문을 만드는 능력에서 출발한다”며 “학생들이 AI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AI를 비판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적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